고객센터

이슈토론
담배에 대한 규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한 우리나라도 생겨야 할까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BY 이춘화 2004-11-28 조회 : 1,348

벼룩시장에 대하여

벼룩시장에 대하여

지난달 (매달 셋째주 토요일) 뚝섬에서 열리는 아름다운가게서 열리는
바자에서 눈쌀이 찝히는 일를 보았읍니다.
외국생활에서도 벼룩시장 바자회는 정리정돈이 깔끔하게 잘되 파는 사람이나, 사려는 사람에게 서로가 기분을 좋게 하는 마음을 가지게하는데 비하여, 우리네 벼룩시장은 제대로 검증이되지 않는 그저 자기 자신이 버리기가 아까울뿐이지 현금으로는 한푼의 값이 될수없는 그런 물건들이 허다하게 있었읍니다.
간혹 유명인이 있을 경우엔, 조금은 다르겠지만 어제(11월27일) 양재동, 서초구민회관에서 열렸던 바자회 또한 별반 다를게 없었읍니다.
아무리 재활용이라도, 자기가 쓰던물건 이었다면 더욱애착을 가지고 최소한 깨끗하게 성의있는 자세로 진열과 판매를 했으면 합니다.
주최하는측에서도 빠쁘더라도 최소한 물건에 대하여 선별을 하여 판매토록 하면 얼마나 기쁜 마음으로 물건을 구입할수 있을까요 같이 동행하였던 외국인 친구가 한국의 벼룩시장에 대하여 놀라하는 표정이 지금도 선합니다. 자기네 나라에가서 어떠한이야기를할는지.......

벼룩시장에 대하여
네.. 종종 그런 경우를 보지요.
그래서 일종의 기부문화로만 이어지는 활동이 아니라 실제 제품을 파고 살수 있는 정도의 수준있는 제품.. 그러니까 못쓰는 물건이 아니라 안쓰는 물건을 거래할 수 있으려면..... 참여하는 사람이 ''''환경운동'''' 차원에서 뿐아니라 ''''경제활동''''차원에서도 벼룩시장이 운영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이 도우미의 소견이랍니다.
인터넷에서도보면 실제 중고제품을 잘 관리하여 ''''새로운 상품''''으로 새단장하여 판매할 때 가치있게 팔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줌마들이 쓰지 않는(못쓰는 것이 아닌) 물건을 새롭게 다듬고 정리하고 포장하여 진짜 새상품처럼 만들어 판매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창업 아이템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죠.
그냥 ''''기부''''라고 생각하니 처음에는 좀 쓸만한 물건을 내놓아도 지속적으로 그냥 기부를 하기는 좀 어려운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벼룩시장..아나마다장터라는 좋은 취지의 운동이 좀더 생산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의식을 새롭게 하고 방향도 개선하면 좋겠따는 생각이네요.^^